목록분류 전체보기 (151)
갬미의 성장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Yh6Ja/btrwIqNETdF/A0sVo1fSwN0U8xCa1pJue1/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TLS 구글 인증서 사용하기 - 로드밸런싱 알고리즘 - 쿠버네티스 deployment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TLS 구글 인증서 사용하기 인증서 종류로는 사설인증서와 공인인증서가 있는데 사설인증서를 사용하는 서버는 브라우저가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로 인식하여 접속이 한번 막히게 된다 공인인증서는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서 발급 받을수 있으며, gke에서는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받일 수 있다 Google 관리 SSL 인증서 사용 | Kubernetes Engine 문서 | Google Cloud 의견 보내기 Google 관리 SSL 인증서 사용 이 페이지에서는 인그레스 객체를 사용하여 Google 관리 SSL 인증서로 외부 부하 분산기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HRfC/btrwnq78cdX/Oav0w5TfW8RrtuSlZdWVo1/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TLS - 쿠버네티스 3tier 구성하기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TLS 우선 쿠버네티스의 ingress는 L7단계 라우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L4 loadbalancer (Service type: LoadBalancer) 나 ingress (Application LB)를 사용한다 인그레스는 여러 서비스에 대해서 라우팅의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아래의 인그레스 설정은 / 로 요청시 hello-world 라는 서비스로 연결하고, /kube 로 요청시 hello-kubernetes 라는 서비스로 연결할 수 있다 -> URL에 따른 서비스 매핑이 필요한 경우 ingress 를 사용한다 아래 블로그를 읽으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Kubernetes 서비..
라우터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 문제 1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시오 IP: 192.168.0.10 (완료된 설정은 startup-config에 저장) Router> en Router# conf t Router(config) # ip default-gateway 192.168.0.10 Router(config) # exit Router# copy r s 명령어 설명 conf t - 전역설정 모드 ip default-gateway :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 명령어 interface --> 어떤 곳에 들어가서 작업할때 (이전 문제들의 Serial 2/0, FastEthernet 0/0등...) 저장은 언제나 관리자 모드까지 나와서 저장한다 (Router#) 문제 2 ROUTER 1의 DHCP 네트워크를 192.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SYtc/btrwb3ZVTbm/O2mdqPgKpPAJCkuyfgI5Z1/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서비스를 외부에 노출할 수 있는 방법 1. NodePort 2. LoadBalancer 3. Ingress (Service Type 아님) ingress는 서비스 위에서 동작한다 (서비스가 있어야지 동작할 수 있다) Ingress는 무슨 메리트가 있는가? URL - DNS URI - DNS/뒤 어쩌고 저쩌고 붙는것 인그레스 서비스(L7 스위치)가 필요한 이유 url이 다른 경우도 있고, uri가 다를수 있다 url에 따른 서버 접속은 dns 등록(Router53)으로 서비스 단(L4-LB)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uri에 따른 서버 접속은 ALB로 가능 함!(Http를 구분하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이 있을때 L4 스위치인 LB는 도메인 이름까지 보고..
라우터 대역폭 설정 문제 1 ROUTER 2의 Serial 2/0의 대역폭을 2048로 설정하시오. (완료된 설정은 startup-config에 저장) Router> en Router# conf t Router(config) # interf serial 2/0 Router(config-if) # bandwith 2048 Router(config-if) # exit Router(config) # exit Router# copy r s 명령어 설명 bandwith : 대역폭 설정 명령어 문제 2 ROUTER 1의 Serial 2/0의 클럭속도를 72K로 설정하시오 (완료된 설정은 startup-config에 저장) Router> en Router# conf t Router(config) # interf s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rE72/btrv4JVQM54/PaxV1TE9oalaMuIk58mH7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쿠버네티스 서비스 - gke, eks 로드밸런서 쿠버네티스 서비스 쿠버네티스 서비스 타입에는 3가지가 존재한다 1. ClusterIP : Default Type, 클러스터 안에서만 통신 가능 2. NodePort : node ip를 통해 외부 접속이 가능하다, Clusterip의 기능도 포함 된다 3. LoadBalancer : 서비스에 외부 접속이 가능한 대표 ip를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프로바이더 (csp)를 사용하는경우 가능한 기능이다 Service An abstract way to expose an application running on a set of Pods as a network service. With Kubernetes you don't need to modif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