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51)
갬미의 성장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rxJ5/btrxHwzCPXR/fqkSWomdduOOWSPzdkJfb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지금까지 배운 내용으로 3tier 구성하기 - NAT gateway k8s로 3tier 구성하기 얘는 뭐 3tier를 맨날해,, 라고 생각할수있지만 오늘은 aws와 gcp를 모두 사용하였다 실습 시나리오 GCP vpc - front subnet (2개 생성) subnet1 1-1. name : front-s1 1-2. region: us-central1 1-3. CIDR: 172.16.100.0/24 subnet2 2-1. name : bastion 2-2. region: us-central1 2-3. CIDR: 192.168.100.0/24 AWS vpc 1. name: backend 2. CIDR: 10.111.0.0/16 subnet (2개 생성) subnet1 1-1. nam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sHnj/btrxkgwGSXR/K6zgwKikfFeYnvRbRHQnk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Bastion host, BGP - VPN BGP, Bastion host 인터넷을 이용하기위해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기업들은 ip를 사서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IP에는 제공하는 기업의 Autonomous Number가 존재하고 이를통해 사용자들은 어디에서 ip를 제공받는지 알 수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내 ip를 어디서 제공하는지 알 수 있다 KISA 후이즈검색 whois.kisa.or.kr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자원 검색(후이즈검색) 서비스 입니다. xn--c79as89aj0e29b77z.xn--3e0b707e 우리나라 각 기업을 예시로 보면 LG, KT, SK 와 같은 ip제공자들을 AS(Autonomous System)라고 하고 이들은 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qc7n/btrw8OBQGmB/sfolLMun4AggYDhADncoE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쿠버네티스 시크릿 - 쿠버네티스 PV-PVC 지금가지 배운 내용을 되짚어보면 pod를 만드는 방법 ReplicaSet Deployment DaemonSet Job Cron job SVC 타입 종류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Volume (일부만) Emptydir HostPath - 도커 마운트와 비슷 BlockStorage - aws EBS, gcp Persistent Disk NFS - 전용 서버 만들어 사용 Configmap - k8s에서 제공하는 conf 전용 스토리지 Secret (오늘 할 것) - base64로 인코딩 되어 저장되는 스토리지 Secret configmap - plain text, 스토리지 내에 저장 secret - base64 ,..
https://jhnyang.tistory.com/279 [리눅스 유닉스 저장공간 공유] NFS 서버란 무엇인가? NFS서버 설치 및 구축, 클라이언트에서 NFS 테 [리눅스 유닉스 완전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주인장 양햄찌 입니다. 오늘은 NFS 서버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 NFS서버란 무엇인가? 현재야 디스크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면서 공간 부 jhnyang.tistory.com https://it-serial.tistory.com/entry/Linux-NFS-%EC%84%9C%EB%B2%84-%EA%B0%9C%EB%85%90-%EA%B5%AC%EC%B6%95%EC%84%A4%EC%B9%98 [Linux] NFS 서버 개념 & 구축(설치) 디스크 용량이 지금 현대시대에는 부족한 현상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sJAb/btrw7SCpv4O/HkxKE9vYGLie7KMlMGoS6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쿠버네티스 볼륨 - 쿠버네티스 잡, 크론잡 web 서버 접근 log를 외부 nfs 서버에 마운트한다고 할때, 시간이 지날수록 log 파일은 점점 비대해질 수 밖에 없다 log가 계속 쌓이면 - nginx 접속이 느려질 수있다 - log가 너무 많아서 보기가 복잡해진다 일정 기간마다 log 를 백업하고 서버에서는 지우는 작업을 통해 log 파일이 너무 커지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의 잡, 크론잡으로 이걸 구현할 수 있다 Job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job/ Jobs A Job creates one or more Pods and will continue to retry execution of th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7f1y/btrwJCuKCOY/LzlKyku1Sk6KvfsbRk3uz1/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쿠버네티스 데몬셋 - 쿠버네티스 볼륨 (외부 스토리지 사용하기) pod를 만드는 방법 1. pod.yml 2. rs 3. deployment 4. Daemonset 4. Daemonset daemon set은 클러스터 전체에 pod를 띄울때 사용하는 컨트롤러이다 deployment의 replicas가 노드의 수만큼 정해져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하나의 노드에 하나의 파드가 배정된다 데몬셋은 노드를 관리하는 파드를 만들때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해 모든 노드에 특정 파드(로그 수집용)를 관리해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노드가 클러스터에서 제거되면 해당 파드는 가비지(garbage)로 수집된다. 데몬셋을 삭제하면 데몬셋이 생성한 파드들이 정리된다. 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