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oud/Cloud 공부일기 (73)
갬미의 성장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lAlG/btrypi2nLNh/XPKeSZZ7ymq4zVbFPrByU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HPA - DB dump - init container HPA (Horizontal Pod Autoscaling) pod scale을 늘리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scale out - in : pod의 수를 늘리는 방법, horizonal - 세션처리, 부하 발생시 scale up - down : pod의 spec을 높이는 방법, vertical - 고속의 cpu가 필요할때 HPA는 pod scale out - in 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kubenetes io 공식 자료 Horizontal Pod Autoscaling In Kubernetes, a HorizontalPodAutoscaler automatically updates a workload resource (such as a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qUjL/btrycQEAX7y/ZoKwalNaJS7IKVmKHK07C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JAVA, Gradle 설치, 환경변수 설정 - nginx-tomcat-mysql 을 이요한 3tier 구성 ( redis 사용 ) code - 사람이 이해하는 언어 --> 컴파일 하여 실행파일로 만든다면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 코드를 빌드하는 툴로 gradle을 사용한다 오늘은 nginx-tomcat 을 사용할 예정인데 tomcat이 java기반이기 때문에 java를 설치해야한다 JAVA 설치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downloads/#jdk18-windows installer 버전으로 다운받는다 exe 실행(기본 그대로 next, 마침 클릭) 및 설치 확인 설치 확인 시스템 환경변수 편집 - 환경 변수 추가 path 편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ieW4/btrx3ai3w7s/a1CiGKMAkFTCU7WLsGAJ91/img.png)
팀과제 내용 사전 준비 사항을 다음과 같이 준비한다. -NFS에서 사용할 수 있는 NFS 서버를 구성하되, 외부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고 External IP를 부여하지 않는다. 추후 만들어진 Cluster랑 같은 VPC내에 존재하도록 한다. NFS에서 export할 디렉토리 명은 /nginx로 만든다. -NFS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Bastion VM을 구성한다. GKE 혹은 EKS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3티어를 구성한다. -Ingress name : ingress 서비스 호스트 : www.도메인명 (Router 53 등록 필수) 기타 TLS 사용은 자유 -Web tire Service name: web-svc Deployment name: nginx-deploy Repli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cJioP/btrx0uaKuD9/QhxoEn7U0ZwBNOiuaJuWJ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StatefulSet - 지금까지 배운 내용 + StatefulSet 을 사용해서 3tier 구성하기 StatefulSet pod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1. stateless - session 정보가 없는 pod 2. stateful - session 정보를 가진 pod pod를 생성하는 방법중 statefulset이 있다 statefulset으로 만들어진 pod는 stateful 상태가 된다 1. RS -> stateless 2. Deployset -> stateless 3. DaemonSet -> stateless 4. StatefulSet -> stateful 파드의 이름이 고정되어 순서대로 생성되고 삭제 되기때문에 주로 파드가 만들어지는 순서나 이름을 예측할 필요가 있는 시스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WmSk/btrxYcs12aA/oROrIqiKze85jgC9UPHLO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지금까지 배운 내용으로 3tier 구성하기 - VPC Peering - CronTab +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는것이 좋다 작업 조건 명시 구성도 (프로젝트 작업) 미니 과제1 - GKE에서 3tier를 구성하며 nfs-server(Web log DB)는 다른 VPC를 만들어 그곳에 프라이빗 인스턴스로 구성한다 - nfs-server와 nginx는 vpc peering 을 맺어 ig 통신을 할때보다 저렴하고 안전하게 통신하도록 한다 - 사용자가 http로 접속했을때 https로 redirection 가능하도록 한다 (보안) - 이때 인증서는 google cert를 사용하지 않고 사설인증서를 사용한다 작업 조건 GCP AWS vpc - front subnet 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rxJ5/btrxHwzCPXR/fqkSWomdduOOWSPzdkJfb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지금까지 배운 내용으로 3tier 구성하기 - NAT gateway k8s로 3tier 구성하기 얘는 뭐 3tier를 맨날해,, 라고 생각할수있지만 오늘은 aws와 gcp를 모두 사용하였다 실습 시나리오 GCP vpc - front subnet (2개 생성) subnet1 1-1. name : front-s1 1-2. region: us-central1 1-3. CIDR: 172.16.100.0/24 subnet2 2-1. name : bastion 2-2. region: us-central1 2-3. CIDR: 192.168.100.0/24 AWS vpc 1. name: backend 2. CIDR: 10.111.0.0/16 subnet (2개 생성) subnet1 1-1. 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