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1)
갬미의 성장일기
오늘 배운 내용 - eks로 CICD CICD 어제는 gke를 이용하여3tier를 구성하고 이 서비스에 적용할 cicd 파이프라인을 구상하였다 오늘은 어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aws의 eks를 이용하여 cicd를 구상한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build - jdk 설치 - build 2. 도커 이미지 - docker 로그인 - docker image build, push 3. aws - 계정인증 - rollout restart deploy(was) - 빌드 파일 백업 추가로 어제 해보려가다 못했던 ,,!! 환경변수 만드는 방법을 알게되었다! env 만들기 - name: Set env run: echo "DATE=$(date +%y-%m-%d-%H-%M)" >> $GITHUB_ENV >>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5grW/btrzlhNk8XL/oBM5aQJyQTKVkEIFf5gXV1/img.png)
하하~ 붙었다 고득점은 아니지만 인풋대비,, 정말 굿 [필기] 교재 이기적 네트워크관리사 (2019) - 당근으로 구매했는데 .. 2019년도 책이었다 그래도 큰 개념은 별로 다르지 않아서 괜찮았다! 네트워크 공부를 처음 하는거라면 필기는 책을 구매해서 공부하는걸 추천한다 이기적 네트워크관리사 1ㆍ2급 필기 네트워크관리사 1급과 2급 필기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 효과적으로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서다. www.aladin.co.kr 네트워크 관리사 2급은 필기가 총 4과목이며 과목별 과락은 없고 총 60점만 넘으면 된다! 난이도는 정말 정말 쉬운편이라 .. 책을 구매해서 공부하지 않고 기출문제 10개만 풀고 복습하고 가도 합격할 수 있다! 기출문제 해설은 아래 카페에서 많이 참고했다 (엄청 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giRYE/btrzjpekQJs/JQsDKkfnSrBUuPva32h1C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CICD CICD 어제 만든 cicd.yaml 파일은 docker image build까지 였다 오늘은 - 도커 이미지 푸쉬 - 자동 배포 - war 파일 백업 - 도커 이미지 백업 까지 구현하였다 1. 도커 이미지 푸쉬 - name: Login to Docker Hub uses: docker/login-action@v1 with: username: ${{ secrets.DOCKERHUB_USERNAME }} password: ${{ secrets.DOCKERHUB_TOKEN }} - name: Docker Push run: docker push ${{ secrets.DOCKERHUB_USERNAME }}/m-dev:tomcat-latest secrets에 변수를 저장해두고 가져와야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WRuY/btrzghNk5Ii/qKIMINKV10lLXs4CJbdoA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Cloud network - IAM - CICD 준비 Cloud network Cloud network의 보안정책은 리소스에 대한 정책과 User에 대한 정책으로 나눌 수 있다 IAM -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User에 대한 정책임 - 누가 어떤 리소스에 무엇을 할 것인지 정한다 GCP IAM이 될 수 있는 오브젝트들 - projects, resources, roles, members 만약 내가 내친구 이슬이 구글계정에 프로젝트 ownership권한을 준다면 이슬이는 해당 프로젝트를 자신이 만든 프로젝트처럼 사용할 수 있다 who = 보안 주체 1. 구글 계정 - 사람에서 부여되는 권한 2. 서비스 어카운트 - 객체 (ex. VM이 스토리지(리소스)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oxKK/btry7sCkREm/FZKTwI03EWdQ06diEX0Qt1/img.png)
오늘 배운 내용 - AWS network - git 복습 - CICD 준비 Cloud network VPC는 나만의 격리된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VPC 생성시 선택사항 - region. CIDR) VM은 VPC안의 서브넷에 위치한다 서브넷 생성시 선택사항 - AZ(=idc 센터), vpc내 cidr ** 만약 나의 계정의 서울리전에 az가 a,b,c,d가 있고 각각 서울, 대전, 대구, 부산이라고 한다면 다른 사람 계정의 서울리전에서는 az a,b,c,d가 각각 대전,부산,서울,대구일 수 있다 (항상 같은 idc을 가르키는것이 아님) vpc, subnet을 만들때 VPC의 서브넷을 만들때 마법사를 사용하면 public2개 private2개씩 생긴다. 또 2개 이상의 가용영역에 각 public, p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P1xd/btry1OkPAn8/G8dC7ogDbMntwB7RUD9ybK/img.png)
tomcat was를 사용한 3tier를 GCP에서는 만들었는데 AWS에서 구축은 안해본 상태였다 우리가 한번 도전해보자라는 팀원분의 의견이 있었고 토요일 저녁 10시~일요일 새벽 3시 40분까지,, 대장정을 거쳐 구현을 성공할 수 있었다 구성도 아닌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정말 정말 간략하게 그림) 구성도를 두개정도 그렸는데 이게 더 보기가 편해서 이걸로 가져왔다 하핫 다같이 동일한 조건으로 구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rule을 정했다 name IP / CIDR - VPC 3tier-vpc 10.0.0.0/20 subnet (web) 3t-web-sub 10.0.0.0/22 Public subnet (web2) 10.0.9.0/24 다른가용영역 subnet (was) 3t-was-sub 1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