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1)
갬미의 성장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pjBd/btruXT4jQWm/fDiLhzbmxydSuJRaK7oQ8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도커 3tier 구성 - 도커 컴포즈 nginx와 was를 연결하는 방법 1. 명령어로 하나하나 입력하기 (run - exec nginx 수정) 2. dockerfile 만들어 image만들고 수정된 이미지를 실행하기 3. conf를 외부 스토리지와 연결하기 1. 명령어로 하나하나 입력하기 (run - exec nginx 수정) DB 컨테이너 was 컨테이너 Nginx 컨테이너 docker run -d -p 80:80 --name myn --net mynet gymin97/msa:v3 docker exec -it myn bash vi /etc/nginx/nginx.conf docker restart myn 스크립트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mkdir nconf vi /nconf/nginx..
개인 블로그에 업로드 했던글이다 나의 첫 공인자격증,, 많관부! 제 30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합격 후기 인턴 한다고 남들 다 합격한 빅분기 실기 불합 이후로 데이터 분석 짝사랑 관둔다 뭐다 했던 나,, 이거 마... blog.naver.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eDUJ/btruLtZf2Kc/UuRB7dGDK3hlXM2675Mz51/img.jpg)
오늘 배운 내용 - 서브네팅 계산법 - 도커 네트워크 - 도커 3tier 서브네팅 계산법 10.1.1.10 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0.0.0이다 10.1.1.10 -> 00001010.00000001.00000001.00001010 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0 여기서 네트워크 주소는 10.0.0.0 (AND 연산) 호스트 주소는 10.1.1.10이 된다 1. CIDR 계산법 10.1.1.10/24의 네트워크 주소는 어떻게 되는가? 어려울것 없이 24가 1의 개수로 치고 계산하면 된다 10.1.1.10 -> 00001010.00000001.00000001.0000101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24개) 여기서 네트워크 주소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ZiCR/btruiTTwyZ6/nkAWPONgyouRzUdvJymbik/img.png)
오늘 배운 내용 -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매체를 통한 공유를 말한다고 이해하면 쉽다 (매체 = 구리선, 광케이블, 무선주파수 ,,, ) 이때 공유를 위해 꼭 지켜야 하는 약속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노드와 노드가 매체를 통해 통신을 한다고 할때 노드 식별자가 필요하다 (집으로 치면 주소, 핸드폰으로 치면 전화번호) 식별자를 = Address라고하며 이게 IP이다 그리고 IP를 통해 각 장비의 MAC 주소를 확인하면 통신이 가능하다 - 프로토콜의 종류로는 제일 중요한 TCP/IP 가 있다 이렇게 하나의 공유기 안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은 별도 인터넷 연결없이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각 노드에 IP를 할당한다면 이 IP로 통신이 가능함 IP를 할당하는 방법 - static: 직접 지정 - 동적 할당: 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NFFp/btrugQnOfcn/3KLzMOS9BGOY6tD4bXJ5O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리눅스 - 마운트 리눅스 PATH 왜 ls는 그냥 실행이 되는데 shell파일은 ./test.sh라고 실행해야할까? (path) echo $PATH -> 이때 나오는 경로에 위치한 명령어들은 이미 path가 잡혀있으니 그냥 명령어만 입력해도 된다는 뜻 ls -> path에 있는 명령어 -> 경로 생략하고 명령어만 입력해도 실행 가능 원하는 위치를 path에 추가하여 쉽게 실행할 수도 있다 1. 현재 쉘에서만 적용 (1회성) export PATH=/work/job/:$PATH path에 내가 정한 경로가 들어가고 경로 지정없이 test.sh 실행이 가능하다 export로 경로 추가시 다른 쉘을 열었을때 적용이 안된다 2. 모든 쉘에서 적용 (실행할 때 마다) root -> .bashr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yEM8/btrubtTI8PM/CZpG2lwA9AkXlf4SWkPlz0/img.png)
오늘 배운 내용 - 컨테이너 실행하기 - Dockerfile로 이미지 만들기 docker 명령어 완전 기본 ⇒ docker images : Docker Host(local)에 있는 이미지를 확인 ⇒ docker ps : 현재 running 되는 컨테이너 ⇒ docker ps -a : 만들어진 모든 컨테이너(운영 중인 컨테이너 포함) 컨테이너 실행하기 1. push - create - start docker hub에서 이미지 받아오기 docker pull nginx 버전을 다르게 하고싶다면 -> docker hub에서 이미지 검색 후 버전 확인 / 버전 태그 안해주면 가장 최신 버전 받아옴 이미지로부터 컨테이너 만들기 docker create -p 80:80 nginx 컨테이너를 실행하지 않으면 docke..